-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24절기 이야기

연관목차보기
- 문화원형 개요
- 절기란
- 24절기의 도입
- 절기의 이해
- 24절기는 음력인가요 양력인가요
- 음력에 양력의 성분인 24절기를 넣은 까닭은 무엇인가요
- 음력보다 양력이 더 정확한 달력 아닌가요
- 한달의 첫날은 어떻게 정하나요
- 우리나라와 중국의 음력은 같나요
- 윤달은 왜 필요한가요
- 윤달은 어떻게 정하나요
- 음력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 광무5년달력 1
- 광무5년달력 2
- 광무5년달력 3
- 대한제국 1페이지
- 대한제국 2페이지
- 방신년도 우
- 방신년도 좌
- 대한제국달력표지
- 대한제국달력 1월
- 대한제국달력 2월
- 대한제국달력 3월
- 대한제국달력 4월
- 대한제국달력 6월
- 대한제국달력 8월
- 대한제국달력 10월
- 대한제국달력 11월
- 대한제국달력 12월
- 옛날달력 1월
- 옛날달력 2월
- 옛날달력 3월
- 옛날달력 4월
- 옛날달력 5월
- 옛날달력 6월
- 옛날달력 7월
- 옛날달력 8월
- 옛날달력 9월
- 옛날달력 10월
- 옛날달력 11월
- 옛날달력 12월
- 옛날달력 표지
- 융희2년달력 1페이지
- 융희2년달력 2페이지
- 융희2년달력 1월
- 융희2년달력 2월
- 융희2년달력 3월
- 융희2년달력 4월
- 융희2년달력 5월
- 융희2년달력 7월
- 융희2년달력 8월
- 융희2년달력 9월
- 융희2년달력 10월
- 융희2년달력 12월
- 융희2년달력 표지
- 천문도단
- 천상열차분야지도 뒷면
- 천상열차분야지도 앞면
- 혼천의
- 혼천의 모형
- 황동남북반구별자리판
- 적도의
- 24절기
- 한국의 24절기 소개
- 한국의 24절기 입춘
- 한국의 24절기 우수
- 한국의 24절기 경칩
- 한국의 24절기 춘분
- 한국의 24절기 청명
- 한국의 24절기 곡우
- 한국의 24절기 입하
- 한국의 24절기 소만
- 한국의 24절기 망종
- 한국의 24절기 하지
- 한국의 24절기 소서
- 한국의 24절기 대서
- 한국의 24절기 입추
- 한국의 24절기 처서
- 한국의 24절기 백로
- 한국의 24절기 추분
- 한국의 24절기 한로
- 한국의 24절기 상강
- 한국의 24절기 입동
- 한국의 24절기 소설
- 한국의 24절기 대설
- 한국의 24절기 동지
- 한국의 24절기 소한
- 한국의 24절기 대한
- 24절기와 농경생활 소개
- 입춘의 농경생활
- 우수의 농경생활
- 경칩의 농경생활
- 춘분의 농경생활
- 청명의 농경생활
- 곡우의 농경생활
- 입하의 농경생활
- 소만의 농경생활
- 망종의 농경생활
- 하지의 농경생활
- 소서의 농경생활
- 대서의 농경생활
- 입추의 농경생활
- 처서의 농경생활
- 백로의 농경생활
- 추분의 농경생활
- 한로의 농경생활
- 상강의 농경생활
- 입동의 농경생활
- 소설의 농경생활
- 대설의 농경생활
- 동지의 농경생활
- 소한의 농경생활
- 대한의 농경생활
- 조선농민의 삶
- 자료실
- 부가학습
- 계절축제
- 창작시나리오관
개요
24절기란 태양이 지구를 도는 시간을 상정하고, 15도씩 옮겨갈 때마다 절기 한 개씩을 넣은 것을 말한다. (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개발한 ‘개념’인 것이지, 물리적으로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는 옛날 학설과 관계있는 것은 아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그려진 원의 아래와 위에 동지와 하지를 그려 넣고, 왼쪽에는 춘분, 오른쪽에는 추분을 표시한다.
기획의도
(1) 입춘(立春)에서 대한(大寒)에 이르는 24절기 절분과 관련된 전통 문화
(2) 조상의 슬기와 지혜가 담긴 24절기 생활 풍속
(3) 서운관, 관상감 등 절기와 관련된 역사적인 문헌자료
(4) 절기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농업 전통 관련 소재
(5) 내러티브의 성격을 가진 민담 등 이야기 소재
(6) 절기에 관한 과학적 소재
ㆍ제작기관 : ㈜써스텍
ㆍ연락처 : 02-585-9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