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명/글제목 | 필자 | 출판사 | 년도 |
민요아리랑에 대하여 | 김재철 | 조선일보 | 1930 |
민요아리랑에 대하여 | 김재철 | 조선일보 | 1930 |
아리랑의 종류와 내용 | 임동권 | 민속학농촌 19기 | |
강원도아리랑(上·下) | 박민일 | 인문학연구 18집 | |
근대민요 아리랑의 성격 형성 | 김시업 | 전환기의 동아세아 문학 | |
<아리랑>에 대하여 | 김연갑 | 수원대학보 | 1986 |
속 소위 아르렁 타령 | 최창환 | 대학학회월보 | |
아리랑 모듬 이야기 | 민학회 | 민학회보 특집 | |
정선아리랑의 요사에 관한 연구 | 서병하 | 관동 향토문화연구 | 1979 |
정선아라리 연구 | 강등학 | 성균관대 박사논문 | |
Korean Vocal Music | 헐버트 | 코리아 레포지트리 | |
Arirang song of Korean soul | 이보형 | ||
정선아리랑의 시적 의미 | 김영기 | 한국문학과 전통 | 1973 |
정선 아리랑고 | 장관진 | 한국문화논총3 | |
정선 아리랑 원류고 | 박재훈 | 관동 향토문화연구 2집 | |
정선 아리랑에 관 한 연구 | 김숙경 | 경희대 석사논문 | |
아리랑의 정신사 | 박민일 | 강원문화연구 7집 | |
한국음악 논총 | 나운영 박사 회갑기념회 | 1982 | |
양동박사 회갑논문집 | 양주동박사 회갑논문집 발간위원회 | 1963 | |
농민가락차차차 | 한국기독교민중 교육연구소 | ||
한국민요집 | 임동권 | 집문당 | 1961 |
한국민요론 | 최영한 | 동광 | 1932 |
한국민요의 사적 연구 | 임동권 | 우석대 박사논문 | 1967 |
강릉지방의 시가의 민속학적 고찰 | 김선풍 | 한국시가의 민속학적 연구 | |
민요의 연구 | 설성경 외 | 민요의 연구 | 1984 |
제주도 민요연구(上) | 김영돈 | 제주도 민요연구 | |
민요연구 | 김열규 | 한국민속과 민요연구 | 1974 |
강원도 민요고(上·下) | 박일송 | 자유문학 | 1962 |
민요론 | 조동일 | 구비문학의 세계 | 1981 |
메나리토리 무가민요권의 음악문화 | 이보형 | 한국문화인류학 15 | |
강원도 지방의 민요연구 | 최종민 | 강릉사대 논문집 | 1985 |
긴아리 아리랑 타령 | 김순재 | 인천교대 논문집 | 1985 |
민요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 | 정동화 | 한국방송사업단 | 1983 |
아르랑 타령 | 대한매일신보 | 1907 | |
강원도아리랑 | 이상준 | 조선속곡집 | 1929 |
아리랑 외 | 김소운 | 조선민요집 | 1929 |
조선민요연구 아리랑 | 김지연 | 조선 151∼153호 | |
함흥아리랑 | 1930 | ||
원주, 정선 구아리랑 | 차상찬 | 별건곤 8∼5. | |
한국시가 여음고 | 황희영 | 국어국문학 18호 | |
강원도 지방의 민요연구 | 츌판정보센타 음향자료 Tape 4521개 | ||
조선민요집 | 김소운 | 1929 | |
삼아리랑 | 김진균 | 동서문화 | 1970 |
한국의 농요(1,2) | 이소라 | 현암사 | |
정선아리랑 | 정선군공보시 | 1972 | |
진도아리랑(1,2) | 진도아리랑보존회 | 1986 | |
아리랑 1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2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3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4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5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6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7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8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4 |
아리랑 9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5 |
아리랑 10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5 |
아리랑 11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5 |
아리랑 12 | 조정래 | 해냄출판사 | 1995 |
정선 아리랑(범우문고 151) | 김병하 외 | 범우사 | 1996 |
아리랑고개의 여인 | 고준석 외편 | 한울 | 1990 |
아리랑 그후 | 김산 | 동녘 | 1993 |
아리랑(동녘문예 6) | 님웨일즈 | 동녘 | 1988 |
아리랑(유구한 역사의 흔적)(증보판) | 오태환 | 돌다리 | 1995 |
강산 아리랑 | 이용화 | 그라피카 | 1999 |
아리랑 아라리오(상) | 헤론 퍼스트 스노 | 세종출판사 | 1995 |
동강 아리랑(수문주말시리즈 18) | 진용선 | 수문출판사 | 1999 |
아리랑 아라리오(하) | 헤론 퍼스트 스노 | 세종출판사 | 1995 |
정선 아리랑(문학과지성 시인선 103) | 박세현 | 문학과지성사 | 1991 |
아리랑 별곡 2 | 한승원 | 문이당 | 1999 |
아리랑 연구 | 조남현 외 | 해냄출판사 | 1996 |
아리랑(자료집 I) | 박민일 | 강원대학교출판부 | 1991 |
아리랑 | 강무학 | 서문문화사 | 1995 |
서간도 아리랑 | 양해동 | 살림터 | 2000 |
아리랑 | 김연갑 | 집문당 | 1998 |
아리랑의 한국학(이규태코너 8) | 이규태 | 기린원 | 1989 |
실리콘밸리 아리랑 | 한미봉사회 | 신아출판사 | 2000 |
아리랑 별곡 | 홍두표 | 북토피아 | 1999 |
끝나지 않은 제주 아리랑 | 김희철 | 다층 | 2000 |
팔도 아리랑 기행 1 | 김연갑 | 집문당 | 1994 |
아리랑 | 김연갑 | 현대문예사 | 1986 |
강따라 아리랑 찾아 | 신경림 | 문이당 | 1992 |
몽마르뜨 언덕의 아리랑 | 이영두 외 | 아동문예사 | 1998 |
아리랑 | 고성훈 | 우리출판사 | 1999 |
메나리 아리랑(실천문학의시집 102) | 안용산 | 실천문학사 | 1995 |
진혼 아리랑 | 오성찬 | 답게 | 1999 |
아리랑(상) | 최정주 | 영언문화사 | 1994 |
사할린 아리랑(수레바퀴총서 2) | 이토 다카시 | 눈빛 | 1997 |
밟아도 아리랑 2 | 윤흥길 | 문학과비평사 | 1991 |
밟아도 아리랑 1 | 윤흥길 | 문학과비평사 | 1991 |
아리랑 신학 2 | 정행업 | 대한기독교서회 | 1997 |
밟아도 아리랑 2 | 윤흥길 | 탑출판사 | 1991 |
밟아도 아리랑 1 | 윤흥길 | 탑출판사 | 1991 |
아리랑 아라리요 | 우리누리 | 동아출판사 | 1993 |
천도 아리랑학 | 김무덕 | 세명문화사 | 1997 |
지금 한국은 DJ아리 아리랑 | 아스라 | 문화샘 | 1998 |
홀로 아리랑(하) | 김명 | 무당 | 1996 |
홀로 아리랑(상) | 김명 | 무당 | 1996 |
긴자 아리랑(중) | 정경제 | 달무리 | 1994 |
책명/글제목 | 필자 | 출판사 | 년도 |
긴자 아리랑 | 정경제 | 달무리 | 1993 |
아리랑 | 편집부 편 | 공간미디어 | 1996 |
변성기의 아리랑 | 이병렬 | 깊은샘 | 1996 |
인생은 끝 없는 고개 아리랑을 부르며 넘자 | 장동화 | 선일문화사 | 1994 |
아리랑(자료집 II) | 박민일 | 강원대학교출판부 | 1991 |
시베리아 아리랑(하) | 곽병규 | 삼신각 | 1993 |
시베리아 아리랑(상) | 곽병규 | 삼신각 | 1993 |
물길 흘러 아리랑 | 서태수 | 신원문화사 | 1997 |
하늘나라 아리랑 | 이종구 | 고려원 | 1992 |
목포 아리랑 | 김지수 | 고려원 | 1995 |
아리랑 제 60기 | 편집부 | 연변인민출판사 | 1998 |
아리랑 제 59기 | 편집부 | 연변인민출판사 | 1998 |
아리랑 제58기 | 편집부 | 연변인민출판사 | 1998 |
아리랑 56 | 김학철 | 연변인민출판사 | 1997 |
슬픈 아리랑 노래 | 김교원 | 산수출판사 | 1999 |
노교사의 아리랑 | 박이근 | 일봉 | 1999 |
민들레 아리랑 | 손영학 | 한강출판사 | 1994 |
아리랑(중) | 최정주 | 영언문화사 | 1994 |
아리랑 58기 | 편집부 편 | 연변대학 | 2000 |
아리랑 57기 | 편집부 편 | 연변대학 | 2000 |
아리랑 56기 | 편집부 편 | 연변대학 | |
아리랑 55기 | 편집부 편 | 연변대학 | |
아리랑 신학 | 정행업 | 대한기독교서회 | 1996 |
긴자 아리랑(상) | 정경제 | 달무리 | 1993 |
아리랑 54 | 편집부 | 교보문고 | 1996 |
아리랑 53 | 편집부 | 교보문고 | 1996 |
아리랑 52 | 편집부 | 교보문고 | 1996 |
아리랑 51 | 편집부 | 교보문고 | 1996 |
아리랑 49 | 연길시문학예술연합회 편 | 교보문고 | |
아리랑 48 | 연길시문학예술연합회 편 | 교보문고 | |
아리랑 | 한연수 | ||
아리랑 | |||
해변아리랑 | 이청준 | ||
아리랑 | 정불이 | 오상출판사 | |
정선아리랑찾아가세 | |||
진도아리랑 | 한연수 | 한길사(구판),시와시학사(신판) | |
아리랑 | 프랑스 아르마땅 | ||
아리랑 | 한연수 | 프랑스 아르마땅 | |
아리랑 | 차경섭 | 북토피아 | 1999 |
-외국인 4인의 한국 아리랑 | 권현정 | 1998 | |
정선 아라리 | 이동렬 | 범우사 | 1998 |
Daily Culture Calender | 정순애 | 아리랑TV | 1998 |
LA 아리랑 | 성민지 | SBS | 1998 |
LA 아리랑 | 최성호 | SBS | 1998 |
소금꽃 108 | 홍윤표 | 대교출판사 | 1997 |
어머님의 아리랑 | 후백 | 마을 | 1996 |
서편제와 아리랑 | 김형규 | 교음사 | 1996 |
겨울비 | 후백 | 마을 | 1996 |
아리랑 아라리요 | 고선희 | MBC | 1996 |
LA 아리랑 | 신동익 | SBS | 1995 |
L.A 아리랑 | 마석철 | SBS | 1995 |
아리랑 | 고은 | 창작과 비평사 | 1995 |
LA아리랑 | 오수연 | SBS | 1995 |
L.A아리랑 | 이숙진 | SBS | 1995 |
아리랑, 나의 아리랑 | 고은 | 씨와 날 | 1994 |
아리랑 | 조정래 | 해냄 | 1994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 오우 | 신광문화사 | 1994 |
명창 김동리 전주아리랑 | 김요섭 | 가꿈 | 1994 |
아리랑은 쌀이다 | 고은 | 씨와 날 | 1994 |
반달 오빠, 새벽 올케 | 고은 | 씨와 날 | 1994 |
보스톤 음식점,아리랑 | 김수경 | 대정진 | 1994 |
징 징 징 울려라! | 한실 | 울지 | 1993 |
유리창 열기와 안경쓰기 | 김윤식 | 문예출판사 | 1993 |
아리랑 | 고은 | 창작과 비평사 | 1992 |
아리랑 | 김초혜 | 동학사 | 1992 |
살다보면 기분좋은날 | 한실 | 을지출판공사 | 1992 |
아리랑 변주곡 | 후백 | 스포츠 서울 | 1992 |
녹색아리랑 | 한실 | 을지출판공사 | 1992 |
나의 아리랑 | 유경환 | 문학아카데미 | 1991 |
예술 탐험12 아리랑 아리랑 아라지요 | 박현령 | 강천 | 1991 |
유랑민의 아리랑 | 송명 | 새물결 | 1990 |
도보트 아리랑 | 박현령 | 문학세계사 | 1990 |
아리랑 후사 | 박재삼 | 신원문화사 | 1990 |
섬 아리랑 | 임파 | 윤성 | 1990 |
나주함, 아리랑배 | 홍성유 | 문학 아카데미 | 1990 |
새 아리랑 | 문정희 | 들꽃세상 | 1990 |
아리랑 상념 | 박현령 | 제삼 기획 | 1989 |
아리랑 별곡 2 | 홍윤숙 | 문학 세계사 | 1989 |
대지의 노래8 | 이영춘 | 문학세계사 | 1989 |
아리랑 별곡 1 | 홍윤숙 | 문학 세계사 | 1989 |
로보트 아리랑 | 박현령 | 제삼 기획 | 1989 |
아리 아리 아라리, 봄의 아리랑 | 박현령 | 제삼 기획 | 1989 |
아리랑 | 강은교 | 자유 문학사 | 1988 |
아리랑 | 강은교 | 자유문학사 | 1988 |
아리랑 | 강은교 | 자유문학사 | 1988 |
정선 아리랑 | 후백 | 영언 | 1988 |
아리랑 | 박제천 | 문학사상사 | 1988 |
아리랑 | 강은교 | 자유 문학사 | 1988 |
아리랑 | 강은교 | 자유문학사 | 1988 |
방법으로서의 타령체와 독백체 | 김윤식 | 문예출판사 | 1988 |
아리랑 | 강은교 | 자유문학사 | 1988 |
너에게 | 정호승 | 민음사 | 1987 |
신아리랑 | 박재삼 | 범우사 | 1987 |
아리랑 곡의 由來 | 이병도 | 일조각 | 1986 |
나를 두고 아리랑 | 장윤우 | 국제출판사 | 1986 |
아리랑 영감 | 고은 | 창작사 | 1986 |
분꽃 | 도종환 | 창작과 비평사 | 1985 |
독재자와 아리랑 | 이어령 | 갑인출판사 | 1984 |
아리랑고개 | 정호승 | 민음사 | 1982 |
아리랑 3회 | 이진호 | 1981 |
책명/글제목 | 필자 | 출판사 | 년도 |
아리랑 4회 | 이진호 | 1981 | |
아리랑 2회 | 이진호 | 1981 | |
아리랑 1회 | 이진호 | 1980 | |
新 아리랑 | 박재삼 | 民音社[민음사] | 1975 |
아리랑과 보리수와… | 이어령 | 조덕 문화사 | 1974 |
아리랑 | 서정범 | 범우사 | 1974 |
잠재의식에서 본 아리랑 소고 | 김상태 | 1974 | |
아리랑 | 유안진 | 조광출판사 | 1970 |
아리랑 팔월 | 김요섭 | 문원사 | 1970 |
아리랑 | 이항녕 | 수도 문화사 | 1962 |
아리랑고개 | 김동환 | 삼천리사 | 1929 |
아리랑 암호문 해독 연구(아리랑 아리랑 곡애 넘어간다) | 조용호 | 조용호 | |
아리랑과 계시록의 만남(The connect of Arirang & Revelation) | 함주식 | 함주식 | |
아리랑의 아버지 | 조용호 | 조용호 | |
한글 아리랑 가사의 漢字原型創作 및 새로운 해석방법 연구 | 조용호 | 조용호 | |
아리랑은 中國語다! | 조용호 | 조용호 | |
아리랑 한문 복원 연구 | 조용호 | 조용호 | |
재현 아리랑 2002 | 조용호 | 조용호 | |
민족 아이랑에 대하여1~4 | 김좌0 | 조선일보 | 1930 |
민족 아리랑에 대하여/아리랑과 세태 | 김좌0 | 조선어문학회보 / 조선어문학회 | 1933 |
조선가요개보 | 천태산 | 조선일보 | 1934 |
민족 "아리랑"에 대한 소설 | 이란숙 | 밀양군 학생회 | 1957 |
대한민국의 | 갑순정 | 고황 8호 / 경희대학교 | 1960 |
한국민족형제 '아리랑'민요考 | 최00 | 광운공대 | 1969 |
아리랑의 종류와 내용 | 임동권 | 민속학론집 | 1971 |
강원도 아리랑 (상) | 박민일 | 인문학형제 17집 / 강원대학교 | 1982 |
민족'아리랑'에대한 고찰 | 김완수 | 새국어교육 / 한국국어교육학회 | 1982 |
강원도 아리랑 (하) | 박민일 | 인문학연구17집 / 강원대학교 | |
근대민족'아리랑'에 대한 고찰 | 김완수 | 새국어교육 / 한국국어교육학회 | 1982 |
아리랑에 대하여 | 김연갑 | 수원대학보 / 창작과 비평사 | 1986 |
아르렁 타령 | 최창환 | 대한학회월보사 | 1908 |
아농가 | 이승훈 | 만천집 | 1790 |
신라건국설화의 연구 | 문경현 | 대구사학 / 대구사학회 | 1972 |
한국민족에 나타난 눈물의 성격 | 정홍권 | 부산대 국어국문학회 | 1967 |
'아리랑'그것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이양상 | 한국전자사보 / 한국전자㈜ | 1986 |
국어국문학연구9집 | 청주대학,국문학회 | 1966 | |
무형문화재지정 신청 이유서 | 성경린/이보형 | 정선아리랑 / 문화재관리국 | 1980 |
한국시가와 민족생활의 상관성 | 황만영 | 지우문힉3권 7호 | 1958 |
국악해설집 | 박윤주 | 태보출판사 | 1982 |
전국지성문화의 현장1집 | 한국예술문화0 | ||
아리랑 고개 | 김규환 | 동아일보 | 1934 |
강화의 새아리랑 | 윤기영 | 조선일보 | 1931 |
한국노동민요론 | 김무헌 | 집문당 | 1986 |
정선군편 | 고전간행회 | 신증동국여지승람 / 동국문화사 | 1957 |
화보 중에서 정선 아리랑 | 화전정리사 | 1966 | |
정선 아리랑의 시적 의미 | 김영기 | 한국문학과 전류 / 현대문학사 | 1973 |
악보,가사 | 정선아리랑 / 정선군 | 1974 | |
강원도 민요의 의미망 | 윤홍노 | 국문학론집 8호 /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1955 |
정선 아리랑요가집 | 정선아리랑 제 위원회 | 1977 | |
관동지방민요에 대한 연구 | 관동향토문화연구 / 춘천교육대학 | 1944 | |
정선아리랑 | 한국민속예술1집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 1978 | |
정선아리랑의 요가에관한 연구 (1) | 관동향토문화연구 / 춘천교육대학 | 1979 | |
정선아리랑의 요가에관한 연구 (2) | 관동향토문화연구 / 춘천교육대학 | 1980 | |
정선아리랑 | 장관진 | 한국문화논문03호 | 1980 |
정선 | 김대곤 | 신동아 | 1981 |
정선의 향사 | 정선군 | 1981 | |
정씨의 고향 | 김 | 중앙일보 | 1982 |
명지순례 강원도 정선아리랑/아리랑 아라리요 | 김창직 | 1983 | |
현대시의 님-정선아리랑,님에게,동천을 중심으로 | 이창직 | 국어국문학논문집12호 / 동국대학교 | 1983 |
내고장의 전통민속/정선여고 정선 아리랑 | 강원일보 | 1984 | |
정선아리랑祭 | 일간스포츠 | 1984 | |
정선아리랑祭 | 강원일보 | 1984 | |
정선아리랑祭를 마치고 | 강원일보 | 1984 | |
정선아리랑 | 전국문화 / 한국문화원 연합회 | 1984 | |
향토문화발전 산질 | 강원일보 | 1984 | |
情恨서러운 아라리요/뿌리 | 역사와 실화 | 1985 | |
정선 아리랑-농촌 새 풍속도/전설속으로 사진 화전 | 서울신문 | 1985 | |
? 脈-정선 | 경향신문 | 1985 | |
정선 아리랑祭 | 조선일보 | 1985 | |
정선 아라리를 찾아서 | 제5회 한길역사기행 안내 팜플렛 / 한길사 | 1986 | |
민요소고 | 이광주 | 조선문단 / 조선문단사 | 1924 |
문학상으로본 민요.동요와 그 채보 | 양명 | 조선문단 / 조선문단사 | 1925 |
조산민요와 그 악보화 | 안기영 | 동광 21호 / 동광사 | 1931 |
조선민요론 | 최영한 | 동광 / 동광사 | 1932 |
조선가요의 여성관 | 김태준 | 중명 / 중명사 | 1937 |
조선민요의 연구 | 김사엽 | 동아일보 | 1937 |
조선민족사설 | 조선민요選 / 학열사 | 1939 | |
제 고장에서 듣는 민요정조 | 이천리 | 1939 | |
고창옥 | 조선민요연구 / 수선사 | 1949 | |
조선민요의 형식과 00 | 임동권 | 국어국문학 18호 / 국어국문학회 | 1957 |
시조와 민요 | 이태극 | 시조개론 / 새글사 | 1959 |
영동지방의 민요고찰 | 김창록 | 문호 1호 / 건국대학교 | |
한국민요의 내용분석 | 김일현 | 학술지5호 / 건국학술연구원 | 1962 |
강원도 민요사(상) | 박일송 | 자유문학 | 1962 |
강원도 민요사(하) | 박일송 | 자유문학 | 1962 |
경복궁 타령과 경복궁가 비교 | 전남대 논문지 | 1963 | |
향토회를 읊는 민요 | 임동권 | 황양 / 황양사 | 1964 |
한국민요의 사적연구 | 임동권 | 우석대학원 박사학위눈문 | 1967 |
진도지방의 민요가사 | 전남대학논문집 5호 | 1969 | |
민요와 현대시 | 조동일 | 창작과 비평 | 1970 |
구비문학개실 | 장덕현 | 구비문학개설 | 1971 |
양세기의 가요문화사 | 조지열 | 한국문화사 | |
민요연구 | 임동권 | 한국민요연구 / 선명문화사 | 1974 |
민요연구 | 김열규 | 한국민속과민요연구 | 1974 |
강릉신가와 민요의 | 김선0 | 국어국문학69호 / 국어국문학회 | 1975 |
한국사람과 한구음악 | 황준연 | 레코드음악 / 성음 | 1980 |
잔통시와 민요 | 김대신 | 한국시와 전통 연구 / 계문사 | 1980 |
민요론 | 조동일 | 구비문학의 세계 | 1981 |
강릉지방의 시가의민속학적 고찰 | 김선예 | 한국시가의 민속학적 연구 / 영선출판사 | 1981 |
메나토리좌가민요권의 음악문화 | 이보정 | 한국문화인류학15호 / 한국문화인류학회 | 1983 |
책명/글제목 | 필자 | 출판사 | 년도 |
민요의 연구 | 최철,설성경 | 민요의 연구 / 정음사 | 1984 |
구비문학의 활기와 긴장 | 조동일 | 한국문화통사 / 지식산업사 | 1986 |
아리랑 타령 | 대한해일신보 | 1907 | |
리요 리언급통속적매물등조사 | 조선총독부 | 1912 | |
조선속곡집(상) | 이상준 | 영창서관 | 1914 |
신구시행잡가 | 지송욱 | 신구서림 | 1914 |
증보신구잡가 | 노익순 | 박문서관 | 1915 |
고령잡가편 | 박영균 | 동명서관 | 1915 |
무쌍신구잡가 | 박승엽 | 오성서관 | 1915 |
신구류행잡가 | 강의영 | 세창서관 | 1916 |
신선고금잡가 | 현공렴 | 대창서관 | 1916 |
특별대증보신구잡가 | 남관설 | 유일서관 | 1916 |
해동잡가 | 박건희 | 신명서림 | 1917 |
조선신구잡가 | 이상주 | 박문서관 | 1921 |
신구현행잡가 | 유근익 | 신명서림 | 1921 |
신찬속곡집 | 경성회동서관 | 1921 | |
예술가의 가뎡 | 중외일보 | 1926 | |
세계명곡통속창가집 | 영창서관 | 1926 | |
무쌍유행신구잡가 | 강의영 | 1928 | |
특별시행참가 | 김태식 | 해동서관 | |
민요연구(3) | 중외일보 | ||
어린이의 노래 | 김석송 | 중외일보 | |
조선민요집 | 김소운 | 태무관 | 1929 |
4월의 시가 | 팔봉 | 중외일보 | 1929 |
신 아리랑 | 허삼봉 | 조선농민 | 1929 |
아리랑(강원도 아리랑) | 이상준 | 조선속곡집 | 1929 |
종두선전가 | 매일신보 | 1930 | |
신 아리랑 | 윤석중 | 동아일보 | 1930 |
농촌 아리랑 | 이경노 | 조선일보 | 1930 |
조선민요연구, 조선민요 아리랑 | 김지연 | 조선 / 조선총독부 | 1930 |
함흥 아리랑 | 매일신보 | 1930 | |
정선 조선가요집 | D.J 핸드포드 | 1931 | |
조선가요선집 | 조선가요연구사 | 1931 | |
문자보급가 | 박동준 | 조선일보 | 1931 |
새해마지 아리랑 | 김복용 | 조선일보 | 1931 |
신 아리랑 희망곡 | 신동아 | 1932 | |
최신유행조선미인 | 강하성 | 태화서관 | |
언문조선구걸민요집 | 김소운 | 언문조선구걸민요집 | 1933 |
원주아리랑/정선구 아리랑 | 차상찬 | 별건곤 | 1933 |
농민 | 농민 | 1933 | |
조선가요의 여성관 | 김태준 | 중명 / 중명사 | 1933 |
아리랑 고개 | 김동환 | 시가집 / 영창서관 | 1933 |
삼천리신식창가집 | 1930 | ||
최신식아리랑카령 | 홍종기 | 회량 시행잡가 | |
묻혀진 아리랑 | 만담집 대머리 백반풍 | ||
조선민요집 | 우현기 | 중앙인서관 | 1936 |
조선문학전집 | 신명균 | 1936 | |
특선가요곡집 | 연락회 | 1936 | |
조선민요의 연구(2) | 김사엽 | 동아일보 | 1937 |
조광 | 조광 | 1938 | |
도위실기 | 엄항섭 | 국제문화협회 | 1946 |
민요와 향토악기 | 장사0 | 상문당 | 1948 |
조선의 민요 | 성경린 | 국제음악문화사 | 1949 |
조선민요곡선 | 서울국민음악연구회 | 1954 | |
한국시가어음고 | 황희영 | 국어국문학 / 국어국문학회 | 1957 |
강원도지(상) | 강원도지편찬위원회 | 1959 | |
여기 참사랑이 있다 | 김을한 | 신태평양출판국 | 1960 |
서울의 민요 | 악사서울(9호) / 시사편찬위원회 | 1960 | |
국악개요 | 장사훈 | 정연사 | 1961 |
국학연구론고 | 양주동 | 을유문화사 | 1961 |
민요시화곡집 | 학급문고간행회 | 1961 | |
풍류한국 | 리처드러트 | 신대양사 | 1965 |
세계민요집 | 동경음악문화사 | 1965 | |
신구잡가 | 향민사 | 1967 | |
민요삼천리 | 성음사 | 1968 | |
국악대전집 | 성경린 | 신세기레코드주식회사 | 1968 |
함경남도지 | 함경남도편찬위원회 | 1968 | |
전라북도지 | 전라북도편찬위원회 | 1970 | |
남도의 빛 | 무순태 | 1971 | |
신고산타령/어랑타령 | 석주선 | 석주선교수회갑기념논총 | |
항일민족시집 | 사상사 | 1971 | |
영동민속지 | 최철 | 통문관 | 1972 |
증보가요집성 | 이창배 | 무형문화재연구소 | 1972 |
강원문물 | 대경출판사 | 1973 | |
한국문화역사설 | 조지훈 | 탐구신서 | 1974 |
강원총람 | 강원도 | 1973 | |
방송50년 야화 | 주부생활 | 1975 | |
강원도 지방의 민요연구 | 최종민 | 강릉사범대학 | 1915 |
민속음악과 무용 | 이보형 | 민속종합보고서 / 충북 | 1976 |
한국창가대계 | 이창배 | 홍인문화사 | |
경상남도지 | 경상남도지편찬위원회 | ||
연포면지 | 연포면지 편찬 위원회 | ||
옥천군지 | 옥천군지편찬위원회 | ||
정선군지 | 정선군지 편찬위원회 | ||
회령군지 | 회령군민회 | ||
조상의 빛난얼 | 전라남도 교육위원회 | ||
한국인의 참모습 | 이규태 | 우일문화사 | 1978 |
충청북도지 | 충청북도지 편찬 위원회 | 1979 | |
음성군지 | 음성군지 편찬 위원회 | 1979 | |
충청남도지 | 충청남도지 편찬 위원회 | 1979 | |
중원향토기 | 형성출판사 | 1979 | |
학창난고 | 김0수 | 청록출판사 | 1979 |
한국민요집 | 임동권 | 집문당 | 1961 |
정선의 향사 | 정선군 | 1981 | |
내고장 전통 가꾸기 | 여천군편찬위원회 | 1981 | |
내고장 전통 가꾸기 | 충주시 | 1981 | |
한국음악 | 국립국악원 | 1981 | |
민요 | 문화재 관리국 | 1981 | |
강릉의 뿌리 | 강릉시 | 1981 | |
내고장 청양 | 청양군 | 1981 |
책명/글제목 | 필자 | 출판사 | 년도 |
명주의 향기 | 명주군 | 1981 | |
옥주의 얼 | 진도군 | 1982 | |
보고서 | 문화공보부 | 1968 | |
춘성의 맥 | 진도군 | 1982 | |
금산산화 | 금산군 | 1982 | |
양구의 얼 | 양구군 | 1982 | |
내 고장 전통가꾸기 | 괴산군 | 1982 | |
소양의 맥 | 춘천시 | 1982 | |
내 고장 전통가꾸기 | 아산군 | 1982 | |
천원실록 | 천원군 | 1982 | |
고줄 고을 장흥 | 장흥군 | 1982 | |
우리고장 전주 | 전주시 | 1952 | |
내고장의 얼 | 해남군 | 1982 | |
변산의 얼 | 전주시 | 1982 | |
동해의 뿌리 | 동해시 | 1982 | |
전통문화의 고장부여 | 부여군 | 1982 | |
내고장 전통 가꾸기 | 여주군 | 1982 | |
내고장 전통 가꾸기 | 구미시 | 1982 | |
광복의 메아리 | 독립군가보존회 | 1982 | |
한국인의 의지 | 정동화 | 한국방송사업단 | 1983 |
민족민요사 | 충청북도 | 1983 | |
내고장 경남 | 경상남도 | 1983 | |
천령의 맥 | 항양군 | 1983 | |
선산의 맥락 | 선산군 | 1983 | |
계석백년 울릉군 | 울릉군 | 1983 | |
긴아리.아리랑 타령 | 김현제 | 인천교육대학교 | 1983 |
풍속과 자연 | 경기도 | 1984 | |
한국00문학대 | 한국정신문화원 | 1980 | |
소양강뗏목 | 소양제전 위원회 | 1984 | |
아이랑 | 님웨일즈 조우화 | 동녘 | 1984 |
민요강습회 악보 | 홍익대학교 민속학반 | 1984 | |
향토민요집 | 강릉문화원 | 1984 | |
뿌리깊은 나무팔도 소리 | 강릉 문화원 | 1984 | |
내고장 경상북도 |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 1984 | |
평택군지 | 평택군 | 1984 | |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 유적발굴 | |||
종합조사보고서 | 충청북도 | 1984 | |
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 예술공연 | 서울예술단 팜플렛 | 1984 | |
한국잡가전집 | 개명문화사 | 1984 | |
무형문화재 지정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 1981 | |
뗏목 | 인제문화원 | 1985 | |
삼척군지 | 삼척군 | 1985 | |
서울의 전통문화 | 서울특별시 | 1986 | |
거지 행진곡 | 윤석중 | 동아일보 | 1929 |
아리랑 강남 | 배달의 맥박/송유출판사 | 1984 | |
아리랑 겨례여 영원하여라 | 군가/국방부 정훈국 | 1986 | |
가요집성 | 1979 | ||
윤용하작곡집'국토아리랑' | 운용화 | 보리밭 | 1972 |
알,아리,아지 | 조선어문7호 | 조선어문 | 1933 |
아리랑과 스리스리의 어원일고 | 정백일예자 | 한글8권 7호 | 1940 |
대단군왕검의건국 | 갑채활 | 백민 | 1945 |
아리랑곡의 由未來 | 이병열 | 筆雜浮斗 | 1956 |
고어연구 | 양주동 | 은고 | 1958 |
도령과 아리랑' | 양주동 | 민족문화 32호 | 1959 |
아리랑의 고찰 아울러"우리"의어원 | 양주동 | 동아일보 | 1955 |
아리랑소고 | 심전덕 | 여원 | 1961 |
국악개요 | 장사기 | 아리랑 | 1961 |
아리랑고설 | 양주동 | 황양 | 1963 |
아리랑 | 윤오영 | 사상계 | 1964 |
아리랑의 기원에 대하여 | 임동권 | 한국민속학 | 1969 |
한국'아리리'원형문화와 단군신화의 인류학적 개계 | 이정기 | 국민대학논문지 | 1972 |
신성염곡위지 아리랑 타령 | 황현 | 매천야득 | |
아리랑어원 | 정동화 | 국어국문학 76호 | 1977 |
아리랑의 조어론적 고찰 | 원훈의 | 관동향토문화연구/춘천교육대학 | 1978 |
아리랑은 고개 이름인가 | 이교주 | 한국인의 참모습/정일문화사 | 1979 |
아리랑 어원에 대한 연구 | 정동화 | 국어국문학 81호 | 1979 |
청산별곡-얄리얄리 얄라리 야라의 어희적 의미분석 | 이등용 | 대동문화연구 | 1983 |
아리랑의 어원 | 민요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한국방송사업단 | 1983 | |
아리랑에 대하여 | 우리민요선집/삼호출판사 | 1985 | |
역리학상의 아리령 | 유경항 | 동학가사의 심층연구/대한출판공사 | 1985 |
아리랑 고개를 넘고넘어 | 심재기 | 한국인/사회발전연구소 | 1985 |
영남루이랑자 | 장지연 | 오백년 기담 | 1913 |
아랑형전설 | 손진태 | 조선문화총서 / 을유문화사 | 1947 |
아랑알 영고개 | 장사0 | 민요향토악기/상문당 | 1948 |
오릉과 알영정지 | 영남사적 사화/교통문화사 | 1956 | |
밀양 아랑각 | 최상수 | 한국민간전설집/통문관 | 1958 |
아리랑의 애화 | 이택순 | 정토문화/전토문화사 | 1959 |
민요와 전설 아리랑 | 김병옥 | 한양/한양사 | 1962 |
전설밀양 아랑각 | 김병옥 | 한양/한양사 | 1963 |
아랑사 | 김정훈 | 낙동강/창작사 | 1969 |
알영의 발상지 앙용명의고 | 안영희 | 동세아여성연구8집/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 |
어랑타령 | 이천리 | 민요소설,풍류찾아 삼천리/대흥출판사 | 1977 |
밀양팔경 아랑토정시 | 권태 | 송산기 | 1980 |
아리랑 설화 | 김관봉 | 한국풍물수필/가정문화사 | 1981 |
아리랑은 불교설화에서 유래했다 | 송일성 | 법주회보/법주회보사 | 1982 |
청사에 빛나는 여인들-신라의 알영와기 | 이회복 | 한국야담사화전집/동국문화사 | 1960 |
아리랑 고개의 애환 | 절영지/절영지발간추진위원회 | 1983 | |
산유화 노래와 박향랑 | 차상찬 | 민요에 나타난 애화/별건곤 | |
남도민요보념 | 윤량석 | 동서문화/계명대 동서문화연구소 | 1969 |
한국음악민요의 유형적 고찰 | 김진균 | 동서문화/계명대 동서문화연구소 | 1970 |
식민지 지하의 음악교육 | 장정식 | 한국문화연구소18집/이화여대 | 1971 |
태백산맥지방의 민요선법연구 | 한만영 | 예술논문집12호/예술원 | 1973 |
양평지방의 민요 | 정동화 | 기전문화연구/기전문화연구소 | 1973 |
이용자방 민요 | 정동화 | 기전문화연구/기전문화연구소 | 1973 |
folk song of korea | 문귀옥 | 수도여사대논문집 | 1974 |
한국민요의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 | 윤량석 | 예술논문집 17호/예술원 | 1978 |
경기도 연천지방민요음악적 분석 | 김순제 | 기전문화연구/인천교육대학교 | 1979 |
정선아리랑의 리듬구조 | 박재훈 | 관동향토문화연구/춘천교대 | 1979 |
정선아리랑원류고 | 박재훈 | 관동향토문화연구/춘천교대 | 1979 |
정선아리랑에 관한 연구 | 고숙경 | 경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80 |
책명/글제목 | 필자 | 출판사 | 년도 |
정선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 박재훈 | 관동향토문화연구/춘천교대 | 1980 |
한국음악s.p음반소사 | 이보형 | 레코드음악봄호/㈜성음 | 1980 |
경기도 노동요의 음악적 분석 | 김순제 | 논문집인문사회음악논단1호/인천교육대학교 | 1984 |
강원도 민요에 대한 음악적분 | 이상규 | 과학편/한양대학교음악연구소 | 1983 |
석연구 | 송민호 | 창가약사/개문사 | 1984 |
새해마지 아리랑 | 김복용 | 동아일보 | 1932 |
사르리 랏다 | 주요한 | 삼천리신식창가집 | 1941 |
아리랑 처녀 | 김호 | 수액 | 1952 |
아가 찬양대 | 김시창 | 손/희문사 | 1956 |
사철나무 | 노문천 | 자유문학 | 1957 |
산가별곡 | 김정진 | 현대문학 | 1957 |
친절무용지방 | 곡천 | 자유문학 | 1959 |
세로 강물은 흘러야 겠오 | 이전구 | 현대문학 | 1958 |
아리랑 | 김구용 | 세계/국제문화연구소 | 1960 |
아리랑 | 김구용 | 자유문학 | 1960 |
봄날에 | 허영자 | 현대문학 | 1961 |
아리랑 상중하 | 김구용 | 현대문학 | 1931 |
브라질의 갈매기 | 랑승만 | 현대문학 | 1963 |
무자리 코리언의 노래 | 정영훈 | 한양 | 1964 |
모국어 | 이기반 | 시조문학 | 1965 |
석경삼장 | 정태모 | 시조문학 | |
아리랑 | 유안진 | 현대문학 | 1969 |
하늘눈(십이) | 송선영 | 현대문학 | 1970 |
아리랑 고고서가 | 이정기 | 현대문학 | 1971 |
돈벌어 돌아가리라 | 박지수 | 월간문학 | 1971 |
음악 | 박종우 | 문학 / 금강출판사 | 1974 |
아침돋경-고은에게 | 박몽구 | 풀과별 | 1974 |
청수장발 | 김정웅 | 시문학 | |
모기를 생각하며/국토 | 조태일 | 국토/창작과 비평사 | 1975 |
아리랑팔월 | 김요섭 | 월간문학 | 1976 |
뿌리들의 하늘 | 신세훈 | 시문학 | 1977 |
연지색 아리랑 | 이한호 | 시와의식 | 1977 |
봄을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 신세훈 | 시문학 | 1978 |
갯비나리/머리마당 | 고은 | 고은시집 새벽길/창작과 비평사 | 1978 |
김동리/명창 전주아리랑 | 김요섭 | 문학사상 | 1979 |
아리랑 서설 | 김학응 | 시도파(제3사화집)/농경출판사 | 1979 |
아리랑 | 정공채 | 신동아 | 1979 |
벽시 | 무단 | 실천문학 | 1980 |
모르지? | 김수영 | 김수영시선(거대한뿌리)/민음사 | 1982 |
성포애사 | 목구일 | 근대시조대전/홍성사 | 1981 |
신아리랑 | 양명문 | 김동진 자전엣세이집-가고파/성광사 | |
네 눈은 상처이다. | 정현조 | 정현종시집-나는 별 아저씨 | 1982 |
아리랑 고개 | 정호승 | 서울의 예수/민음사 | 1982 |
아리랑 꽃 | 이만주 | 현재문학/문학과 지성사 | 1982 |
아리랑 꽃 | 이만주 | 현대시 85인의 축제/민족문화사 | 1982 |
고통의 축제 2/술잔들며 | 정현종 | 정현종시집-달아달아 밝은 달아/지식산업사 | 1983 |
아리랑 산조 | 이종현 | 시집아리랑 산조 | 1984 |
정선 아리랑 | 고은 | 조국의 별/창작과 비평사 | 1984 |
백결송 | 원영동 | 광장/세계평화교수협의회 | 1984 |
아리랑 아라리요 | 이상백 | 이시대의 순수영혼을 위하여 | 1985 |
팔복이 아리랑 | 홍일선 | 실천문학/시문화사 | 1985 |
아우라지 뱃사공 | 신경림 | 달넘세/창작과 비평 | 1985 |
아리랑 | 정공채 | 정공채시집-아리랑/5상사 | 1986 |
아리랑 | 조재훈 | 겨울의 꿈 | |
치르치르의 아리랑 | 김세일 | 동아일보/동아일보사 | 1986 |
아랑의정조 | 박종화 | 문장 | 1940 |
시향가 | 정배석 | 백민/중앙문화협회 | 1980 |
아시랑기 | 김동리 | 야담/희망사 | 1958 |
아리랑 | 이광숙 | 현대문학 | 1964 |
아리랑 | 서기원 | 서기원 문학전집/어문학 | 1973 |
강무학 | 소설열국사/야실사 | 1982 | |
어느 유역중에서 | 최해군 | 월간문학 | 1984 |
아리랑 | 님웨일즈 | 아리랑/동녁문예 | 1984 |
무정과 아리랑 | 김병곤 | 매일신보 | 1935 |
백두산과 아리랑 고개 | 농천 1호 | 1947 | |
아리랑 고개 | 이봉구 | 평화신문 | 1957 |
아리랑 고개 | 최성실 | 쑥꽃 사어록/범조사 | 1959 |
아리랑 | 이항영 | 객설록/수도문화사 | 1962 |
밀양 아리랑 | 민병수 | 여상/신태양사 | 1964 |
아리랑.드레스 반론 | 김기두 | 한국에 태어난 행복/박영사 | 1964 |
아리랑과 보리수와 독재자와 아리랑 | 이어령 | 흙속에 저바람 속에 /현암사 | 1966 |
아리랑 수풀 | 이어령 | 茶 한잔의 사상/삼중당 | 1967 |
아리랑 | 서정범 | 현대문학 | 1968 |
강원도 여성 | 김유정 | 신한국 문학전집/어문각 | 1970 |
민요 아리랑애사 | 박영욱 | 월간 다리 | 1971 |
아리랑 변시 | 송도 | 수필문예 | 1973 |
아리랑 고개 | 김성천 | 낙동강 소금배/현대문화사 | 1976 |
아리랑의 애조와 민족성 | 홍사중 | 한국의지성이것이냐 저것이냐/동덕문화사 | 1977 |
아리랑의 극과 화 | 황문평 | 노래따라 세월따라 한국가요 50년야사 | 1977 |
아리랑과 흰옷 | 김동욱 | 나손만록/개문사 | 1977 |
아리랑 | 신복용역 | 조선견문기/박영사 | 1979 |
아리랑죄 | 임창한 | 대동강 1호/평고보,평어중문회 | 1980 |
SP음반 수집기 | 레코드 음악10호 | 1980 | |
아리랑 출판곡 | 삼보문화사 | 1981 | |
김관봉 | 한국풍물수필/가정문화사 | 1981 | |
아리랑 | 음악따라 사랑따라/월간음악출판사 | 1982 | |
한의 노래'아리랑' | 이규태 | 한국인/사회발전 연구소 | 1983 |
원산 아리랑 | 최민해 | 웃기는 세상을 사는 재미/정음문화사 | 1984 |
내포지방의 문화와 노래 | 신경림 | 마당/계몽사 | 1984 |
아우라지 강의 어리무던한 뱃사공 | 신경리 | 한국인/사회발전 연구소 | 1984 |
정선 아리랑 | 최민해 | 무서운 한국인/정음문화사 | 1985 |
아리랑 너없이 어찌 살고 죽으랴 | 고한 | 마당/계몽사 | 1985 |
다시 아리랑 | 고금 | 마당/계몽사 | 1985 |
풍류한국 | 리차드 러트 | 신대양사 | 1965 |
천음당 시화 | 대한매일신보 | 1909 | |
해동죽우 | 최영년 | 해동죽우 | 1921 |
0어민족관세도륜설 | 황성신문 | 1901 | |
음악: 민요와 기생사진 | 일본지리풍속대계16/동경신광사 | 1930 | |
조선민요만담 | 김재철 | 신흥 | 1931 |
창간사 중에서 아리랑 부분 | 조선민속학회 | 1933 |
책명/글제목 | 필자 | 출판사 | 년도 |
남의 입에서 불러지는 아리랑 고개 | 동아일보 | 1936 | |
현대사조의 대중성과 유행성 | 조길영 | 1937 | |
차창견문 | 김소운 | 신천지 | 1946 |
민속춤 | 정병호 | 아리랑무보/청림사 | 1968 |
압록강 뗏목 | 신양 | ||
1920년대 식민지적 현실 | 홍이섭 | 문학과지성/일조격 | 1972 |
잡가란 무엇인가 | 최남선 | 조선상식문답속전/삼성문화재단 | 1972 |
잡요 아리랑 | 장시0 | 0명의 동서음악 | 1974 |
울릉도의 전설, 민요 | 어영택 | 정음사 | 1978 |
금지곡 아리랑 | 금지곡자록집/한국공정윤리위원회 | 1979 | |
일제의 한국문화 침탈의 기조 | 신일철 | 변혁시대의 한국사/동평사 | 1980 |
한국의 구전 | 김소운 | 중앙일보 | 1981 |
아리랑의 역사와 고탈 | 김무학 | 야실사 | 1981 |
알프스와 아리랑 | 이종만 | 월간 건축문화/건축문화사 | 1982 |
민속의 현대적 전승을 위하여 | 아주문화 4호/아주대학교 | 1982 | |
나는 여자정신대 할머니의 원한의 일대기 | 중앙일보 | 1984 | |
아리랑 가락속에 궁성만찬 | 조선일 | 1984 | |
조선인터뷰 정관덕스님 | 조선일보 | 1984 | |
가곡, 그리워 육필 악보 | 가정조선 | 1985 | |
아리랑 문헌 전시회 | 독서신문 | 1985 | |
건널목"청산별곡 고려몽고 난때 피난민이지어" | 서울신문 | 1985 | |
민속놀이 체조로 꾸미었다. | 동아일보 | 1985 | |
정간보와 오선보 | |||
중공교포 순한글 문예지 창간호 | 하리낭편향회 | 하리낭/민족출판사 | 1980 |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 | pearls buck | the living read | |
아리랑의 모든것 | 서울신문 | 1986 | |
아리랑의 뿌리는 불교신화 | 경향신문 | 1986 | |
우리시대의 아리랑 | 박인배 | 전통문화 | 1986 |
변신적 테크닉 보인"아리랑"예술적 비판기능 치열했다. | 이상목 | 월간조선 | 1986 |
논픽션"아리랑탄광살이" | 이영문 | 신동아/동녘 | 19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