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
다른이름 甘松(감송),苦彌哆(고미치),香松(향송)
약맛 감(甘) 신(辛)
귀경 비(脾) 위(胃)
주치 胸悶不舒,飮食無味,胃痛,脘腹脹痛,心腹痛,食欲不振,食多腹脹,舌淡苔白,脈沈緩弱,氣短,倦怠,脚氣浮腫
약용부위 뿌리
칠향원(七香元)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蓬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縮砂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甘松香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橘紅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木香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白檀香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白豆寇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香附子 분량 : 2.5 단위 :兩
본초명 : 丁香皮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丁香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沈香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三稜 분량 : 5 단위 :錢
氣虛者나 血虛者는 服用을 忌한다.
開鬱醒脾,收濕拔毒(外用),行氣止痛
주치증상
<개보(開寶)>: 나쁜 기운의 침범으로 인하여 갑자기 배가 그득한 느낌이 있고 복통이 있는 증상을 치료하며 기운을 아래로 내리는 효과가 있다.
진장기(陳藏器): 피부의 검버섯과 기미를 치료하며 영양장애를 동반한 부스럼, 충치, 치질을 치료하는데 白芷와 附子와 함께 쓰면 좋다.
왕호고(王好古): 元氣를 돕고 기가 막힌 것을 소통시킨다.
이시진(李時珍): 각기병과 무릎에 부종이 생긴 것을 치료하며 끓여서 환처를 씻는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 고미치(苦彌哆)가 있다.
이시진(李時珍): 川西의 松州에서 생산되고 그 맛이 달기 때문에 甘松香이라고 불렀다.
<금광명경(金光明經)>: 苦彌哆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