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溫, 소양인
다른 이름 羌滑(강골),羌靑(강청),蠶羌(잠강),胡王使者(호왕사자)
약 맛 고(苦) 신(辛)
귀경 간(肝) 신(腎) 방광(膀胱)
주치 風寒濕痺,風寒感冒,風濕在表,風水浮腫,太陽頭痛,瘡瘍初起,頭痛,關節疼痛,痙症
약용부위 뿌리줄기
강마탕(羌麻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麻黃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防風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姜 분량 : 적당량 단위 :
본초명 : 菊花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薄荷 분량 : 0.25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茯笭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石羔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前胡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枳殼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羌活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白芷 분량 : 0.25 단위 :錢
강오탕(羌吳湯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升麻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羌活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藁本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麻黃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當歸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吳萸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紅花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連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柏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蒼朮 분량 : 1 단위 :錢
血虛痺痛, 表虛汗多症, 陰虛, 허약자는 복용을 忌한다.
경북
去風濕止痛,解表散寒
주치 증상
<本經(본경)>: 風寒邪(풍한사)의 침범을 받은 경우, 金瘡(금창)으로 통증이 있는 경우, 奔豚(분돈), 경련, 여자의 하복부 통증과 癥瘕(징가)를 치료한다고 하였으며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別錄(별록)>: 모든 風邪(풍사)로 인한 병증을 치료하고 新舊(신구)를 막론하고 뼈마디가 아픈 모든 증상을 치료한다.
甄權(견권): 獨活(독활)은 모든 風寒濕邪(풍한습사)가 침범한 증상, 奔豚(분돈), 喘息(천식), 皮膚瘙痒症(피부소양증), 手足痙攣(수족경련) 및 무기력, 치통을 치료한다. 羌活(강활)은 독한 風邪(풍사)의 침범으로 목소리가 잠긴 것, 皮膚瘙痒症(피부소양증), 사지의 무기력, 口眼喎斜(구안와사), 전신의 감각이상, 문둥병 등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羌活(강활)과 獨活(독활)은 모든 風邪(풍사)의 울체를 없애고 근육경련, 관절통, 어지러움, 눈이 충혈되고 아픈 것, 과로로 인한 쇠약을 치료하며 五臟(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積聚(적취)와 수분 대사장애를 치료한다.
李杲(이고): 風寒濕邪(풍한습사)의 침범으로 인하여 저린 증상 및 감각이상과 어지럼증을 치료하고 눈이 아찔하고 목이 잘 돌아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王好古(왕호고): 腎(신에) 침범한 風邪(풍사)를 제거하고 肝(간의) 風氣(풍기)를 제거하며 肝氣鬱滯(간기울체)를 해소하고 목이 뻣뻣하고 허리와 척추가 강직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 종기의 나쁜 피를 제거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羌活(강활), 羌靑(강청), 獨搖草(독요초), 護羌使者(호강사자), 胡王使者(호왕사자), 長生草가 있다.
陶弘景(도홍경): 하나의 줄기가 곧게 위로 뻗어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므로 獨活(독활)이라 한다.
<別錄(별록)>: 이 약초는 바람이 불어도 흔들리지 않고 바람이 없을 때에는 홀로 움직이므로 獨搖草(독요초)라고 부른다.
池大明(지대명): 獨活(독활)은 羌活(강활)의 母(모이)다.
李時珍(이시진): 獨活(독활)은 羌(강)에서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그러므로 羌活(강활), 胡王使者(호왕사자)라는 이름들이 있는 것이니, 하나의 약물을 두 가지로 부른 것이다. 바로 川芎(천궁)과 撫芎(무궁), 白朮(백출)과 蒼朮(창출) 등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사용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다른 점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後人(후인)들이 獨活(독활)과 羌活(강활)을 두 가지 약물로 생각한 것은 틀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