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溫
다른 이름 地新(지신),蔚香(울향),山茝(산채),微莖(미경),鬼卿(귀경),藁茇(고발)
약 맛 신(辛)
귀경 방광(膀胱)
주치 寒濕泄瀉,寒濕腹痛,皮膚濕疹,風寒濕痺,風寒頭痛,風濕頭痛,巓頂頭痛,外陰部濕疹,外感風寒,頭部白癬
약용부위 뿌리줄기와 뿌리
강오탕(羌吳湯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升麻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羌活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藁本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麻黃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當歸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吳萸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紅花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連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柏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蒼朮 분량 : 1 단위 :錢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羌活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獨活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植防風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藁本 분량 : 0.5 단위 :錢
血虛頭痛, 虛熱이 있는 者는 복용을 忌한다.
去濕止痛,發表解表,止痒
주치 증상
<本經>에서는 “여성의 하복부에 극심한 통증, 癥瘕, 생식기가 차고 붓고 통증이 있는 증상, 배가 당기는 증상, 두통을 치료한다. 살을 돋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라고 하였다.
<別錄>에서는 “濕邪를 제거하고 風邪를 제거하고 金瘡을 치료한다. 목욕제와 화장품을 만들 수 있다.”라고 하였다.
甄權은 “160종의 전염병을 치료할 수 있고 風邪가 허리로 들어가 통증과 冷症을 발생시키는 것을 치료한다. 小便을 시원하게 하고 血을 잘 통하게 하고 잘 낫지 않는 두통과 기미를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池大明은 “사마귀, 기미, 딸기코, 여드름, 癎疾을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張元素는 “太陽頭痛, 巓頂痛을 치료하고 寒邪가 뇌로 들어가고 통증이 치아와 뺨 부위까지 연결된 경우를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李杲는 “머리와 얼굴 및 전신의 피부가 가렵고 습한 것을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王好古는 “督脈이 병들어서 척추가 뻣뻣하고 시린 것을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李時珍은 “癰疽를 치료하며 고름을 배출시키고 瘡口를 막는다.”라고 하였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藁茇<綱目>, 鬼卿<本經>, 地新<本經>, 微莖<別錄>이 있다.
蘇恭은 “약초의 밑동이 벼가 마른 것과 비슷하므로 藁本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本은 뿌리를 뜻한다.”라고 하였다.
李時珍은 “옛사람들은 이것을 향료로 사용하였는데, 藁本香이라고 하였다. <山海經>에는 ‘藁茇’이라는 명칭이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