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열熱
다른 이름 大楓子(대풍자)
약 맛 신(辛)
귀경 간(肝) 비(脾) 신(腎)
주치 疥癬, 疥瘡, 麻風, 白禿瘡, 濕毒瘡, 楊梅瘡, 癮疹, 酒齄鼻, 風癬
약용부위 종자
마풍고(磨風膏)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水銀 분량 : 3 단위 :錢
본초명 : 杏仁 분량 : 20 단위 :箇
본초명 : 輕粉 분량 : 3 단위 :錢
본초명 : 枯白礬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大風子 분량 : 14 단위 :箇
본초명 : 蛇床子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銀硃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樟腦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川椒 분량 : 3 단위 :錢
본초명 : 雄黃 분량 : 1.5 단위 :錢
차비거홍방(搽鼻去紅方)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白楊葉 분량 : 7 단위 :箇
본초명 : 輕粉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京墨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大風子 분량 : 49 단위 :箇
본초명 : 白礬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五味子 분량 : 49 단위 :粒
본초명 : 杏仁 분량 : 49 단위 :箇
본초명 : 水銀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核桃 분량 : 7 단위 :箇
中毒症狀으로는 頭暈頭痛, 發熱, 腹痛嘔吐, 심하면 蛋白尿까지 나타난다.
孕婦, 體虛者, 肝腎의 기능이 좋지 않은 자, 陰虛血熱者는 服用을 忌한다.
有毒하므로 內服은 삼가야 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少量을 사용하여야 한다.
過量을 지속적으로 服用하면 안 된다.
祛風燥濕, 攻毒殺蟲,
주치 증상
李時珍(이시진): 피부에 침범한 風邪(풍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疥癬(개선), 癩病(나병), 梅毒(매독)을 치료하고 風毒(풍독)과 寄生蟲(기생충)을 없앤다.
약물 이름의 기원
李時珍(이시진): 심한 風病(풍병)을 다스린다고 하여 명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