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한寒, 태음인
다른 이름 黃良(황량),火參(화삼),蜀大黃(촉대황),川軍(천군),將軍(장군),牛舌大黃(우설대황),生軍(생군),膚如(부여),錦紋大黃(금문대황),
약 맛 고(苦)
귀경 간(肝) 비(脾) 위(胃) 대장(大腸)
주치 口舌生瘡, 衄血, 目齒腫痛, 膀胱蓄血, 痞滿燥實, 産後腹痛, 水火湯傷, 濕熱下痢, 濕熱黃疸, 實熱便秘, 癰腫疔瘡, 腸癰, 積滯腹痛, 跌仆損傷, 太陽病誤治攻下, 吐血, 血瘀閉經
약용부위 뿌리
가미형황탕(加味荊黃湯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牛蒡子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大黃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荊芥 분량 : 5 단위 :錢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防己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獨活 분량 : 1.2 단위 :錢
본초명 : 大黃 분량 : 2.4 단위 :錢
본초명 : 當歸尾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羗活 분량 : 1.2 단위 :錢
본초명 : 枳實 분량 : 0.5 단위 :錢
表證未解者, 血虛氣弱, 脾胃虛寒, 無實熱積滯, 胎前産後의 경우에는 使用을 忌해야 한다.
설사를 일으키는 성분이 젖으로도 나가기 때문에 授乳期의婦人은 반드시 주의해서사용해야 한다.
영천
攻積導滯, 凉血解毒, 活血祛瘀
주치 증상
<본경(本經)>: 어혈(瘀血)이 뭉친 것을 배출시키고, 한열왕래(寒熱往來)를 치료하며 복부에 덩어리가 뭉친 것을 없애고 담음(痰飮)과 음식이 체한 것을 내린다. 장위(腸胃)를 씻어냄으로써 위장관(胃腸管) 속의 오래된 숙변 같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비위(脾胃)의 기능을 조절하고 음식물의 소화를 조절함으로써 오장(五臟)을 조화롭고 편안하게 한다.
<별록(別錄)>: 위기(胃氣)를 평정하여 하기(下氣)를 돕고 비정상적으로 끈적이는 진액을 제거하고 장(腸)에 열(熱)이 뭉치는 것을 없앰으로써 배가 빵빵하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도한 여성이 자궁이 차가워서 발생하는 월경불통, 아랫배 통증 및 어혈이 고여 있는 것을 치료한다.
견권(甄權): 여성의 월경을 잘 통하게 하고 수종(水腫)을 없애며 대소장(大小腸)을 잘 통하게 한다. 붓고 열이 나는 부위에 붙이기도 한다. 소아의 전염병으로 인한 발열을 다스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열나는 증상을 치료하며 곪는 것을 삭힌다.
지대명(池大明): 모든 기(氣)가 울체된 것을 잘 통하게 하고 혈관을 조절하며 관절을 부드럽게 한다. 수기(水氣)가 울체된 것을 배설하고 열성 전염병과 학질을 치료한다.
장원소(張元素): 실열(實熱)로 인한 변비를 치료하고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제거하고 식체(食滯)를 없애며 명치 부위가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이시진(李時珍): 피와 고름이 포함된 설사를 하는 증상, 갑자기 배가 아프면서 설사하는 증상, 소변이 똑똑 떨어지는 증상, 실열(實熱)로 인하여 변이 마르고 굳어진 것, 일정한 시간에 발열이 나면서 헛소리를 하는 것, 황달 및 모든 화기(火氣)로 인한 부스럼을 치료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황량(黃良), 장군(將軍), 화삼(火參), 부여(膚如)가 있다.
도홍경(陶弘景): 대황(大黃)은 그 색이 누렇다. 장군(將軍)이라는 명칭은 그 매우 효과가 빠르기 때문이다.
이고(李杲): 오래된 것들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것들을 공급하는 것이 적을 무찌르고 전란을 안정시킴으로써 태평(太平)한 시절을 이르게 하는 장군과 비슷한 점이 있으므로 장군(將軍)이라는 명칭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