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평平, 소음인
다른 이름 脫咬嬰兒(탈교영아),脫桃仁(탈도인),核桃仁(핵도인)
약 맛 고(苦) 감(甘)
귀경 간(肝) 심(心) 대장(大腸)
주치 經閉, 瘀血疼痛, 熱病蓄血, 腸癰, 腸燥便秘,,跌打損傷, 癥瘕, 肺癰 ,咳嗽氣喘
약용부위 열매
계명산(雞鳴散)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大黃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歸尾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桃仁 분량 : 7 단위 :粒
구미계지탕(九味桂枝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桂枝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乾薑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桃仁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茯苓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生附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芍藥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孕婦에게는 愼用한다.
潤燥滑腸, 止咳平喘, 活血祛瘀
주치 증상
<本經(본경)>: 瘀血(어혈)과 월경장애 및 癥瘕(징가)를 치료하며 기생충을 없앤다.
<別錄(별록)>: 기침을 그치게 하고 上氣(상기)되는 증상을 없애며 명치 부위에 단단하게 뭉치는 것을 없애고 갑작스러운 瘀血(어혈)을 제거한다. 월경을 통하게 하고 하복부의 통증을 그치게 한다.
張元素(장원소): 혈행장애, 瘀血(어혈)로 인한 便秘(변비), 血燥(혈조)를 치료하고 大便(대변)을 부드럽게 하고 어혈을 제거한다.
孟詵(맹선): 기생충을 없앤다. 매일 밤 찧어서 꿀과 함께 손과 얼굴에 바르면 좋다.
李時珍(이시진): 혈행장애와 風邪(풍사)로 인한 저림, 陰虛(음허), 發熱(발열)을 치료하고 瘧疾(학질)의 寒熱往來(한열왕래)를 치료하며 疼痛(동통)과 출산 이후의 血病(혈병)을 다스린다.
약물이름의 기원
李時珍(이시진): 복숭아는 일찍 꽃이 피고 쉽게 심을 수 있으며 열매가 매우 많아. 때문에 木(목)과 兆(조)라는 글자가 합쳐진 것이다. 十億(십억)을 兆(조)라고 하는데 그 수가 매우 많음을 뜻하는 것이다. 어떤 이는 兆(조)라는 글자의 음을 따온 형성 문자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