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평平, 소양인
다른 이름 大麥芽(대맥아),大麥蘗(대맥벽),大麥毛(대맥모)
약 맛 감(甘)
귀경 간(肝) 비(脾) 위(胃)
주치 嘔吐, 死胎不下, 泄瀉, 小兒乳積不化, 食慾不振, 食積, 脘腹脹滿, 乳房脹痛, 癥瘕積聚
약용부위 열매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神麯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薑 분량 : 적당량 단위 :
본초명 : 乾薑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麥芽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白朮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升麻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人參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陳皮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蒼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天麻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澤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黃芪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黃栢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茯苓 분량 : 0.5 단위 :錢
별갑환(鱉甲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海粉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桃仁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麥芽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鱉甲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三菱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神麯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靑皮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香附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紅花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莪朮 분량 : 5 단위 :錢
積滯가 없고 脾胃가 虛寒한 者에게는 마땅하지 않다. 姙婦는 愼用한다.
授乳期에는 服用을 忌하고, 腎을 消耗하므로 多食하지 말아야 한다.
退乳消脹,下氣消食,行氣散血,和中開胃
주치 증상
<別錄(별록)>: 음식을 소화시키고 비위를 조화롭게 한다.
<藥性(약성)>: 冷氣(냉기)를 없애고 명치 부위가 더부룩하고 빵빵한 것을 없앤다.
<日華子本草(일화자본초)>: 胃(위)를 돕고 霍亂(곽란)을 그치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번잡한 것을 치료하며 痰(담)을 제거하고 積聚(적취)를 제거하며 분만을 촉진시켜 태아를 나오게 한다.
張元素(장원소): 脾胃(비위)를 보충하고 腸(장)을 편안하게 하며 下氣(하기) 시켜서 배에서 소리가 나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李時珍(이시진): 쌀과 밀로 만든 모든 음식과 과일 등으로 인한 食積(식적)을 치료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穬麥蘖(광맥얼)이 있다.
陶弘景(도홍경): 蘖米(얼미)라는 것은 쌀로 싹을 틔운 것이지 다른 쌀의 명칭이 아니다.
蘇恭(소공): 蘖(얼)은 孽(얼)과 유사하여 살기는 했으나 정상적으로 살지 못하는 것의 명칭이다. 살아있는 사물을 이용하여 사람을 살린다는 의미로 싹튼 쌀을 약에 넣는 것이다. <食經(식경)>에서는 稻蘖(도얼)을 사용했는데, 稻(도)라는 것은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총칭이다. 따라서 陶弘景(도홍경)이 껍질 벗긴 쌀로 蘖(얼)을 만든다고 한 것은 틀린 것이다. 도정한 쌀이 어찌 다시 살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