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溫, 태양인
다른 이름 鐵脚梨(철각리),木瓜實(목과실)
약 맛 산(酸)
귀경 간(肝) 비(脾)
주치 寒濕泄瀉,風濕痺痛,濕滯痢疾,濕氣嘔吐,筋脈拘攣,脚氣腫痛
약용부위 열매
가미창백산(加味蒼栢散)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防己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木瓜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當歸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羗活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薑 분량 : 단위 :
본초명 : 甘草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白蘞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木通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知母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獨活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蒼朮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芍藥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牛膝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生地黃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黃栢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檳榔 분량 : 0.3 단위 :錢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牛膝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木瓜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杜冲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熟地黃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天麻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兎絲子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鹿茸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肉蓯蓉 분량 : 0.5 단위 :斤
鬱熱, 小便短赤, 膿尿者는 服用을 忌한다
食傷으로 脾胃가 虛弱하지 않고 內腹에 積滯가 있어 便秘가 있는 者는 服用을 忌한다
貧血이나 眞陰이 不足하여 下半身腰膝이 無力한 者는 服用을 忌한다
多食하면 齒와 骨이 損傷된다.
舒筋,化濕,和胃,活絡
주치 증상
<別錄(별록)>: 濕邪(습사)에 의한 저림, 霍亂(곽란), 근육경련을 그치게 한다.
陳藏器(진장기): 脚氣病(각기병), 氣(기)가 위로 치솟는 증상에 보기 좋게 익은 열매 한 개를 따서 씨앗을 빼고 끓여서 먹으면 좋다. 筋骨(근골)을 튼튼게 하고 冷氣(냉기)를 배출시키고 嘔吐(구토)를 멎게 하며 痰(담)이 가슴을 답답하게 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음식을 소화시킨다. 물 설사 이후에 갈증이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할 때는 음료를 만들어 마신다.
池大明(지대명):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하고 氣(기)가 하복부에서 위로 치솟는 증상, 水腫(수종), 冷痢(냉리), 熱痢(열리), 腹痛(복통)을 치료한다.
雷斅(뇌효): 營衛(영위)를 조절하고 穀氣(곡기)를 돕는다.
王好古(왕호고): 濕邪(습사)를 제거하고 胃(위)를 조화롭게 한다. 脾(비)와 肺(폐)를 돕고 腹脹(복창)과 트림을 자주 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명치 부위가 결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楙(무)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爾雅(이아)>에서는 楙(무)를 木瓜(목과)라고 하였다. 郭璞(곽박)은 나무의 열매가 작은 오이와 같고 맛이 시며 먹을 수 있기 때문에 木瓜(목과)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木瓜(목과)의 신 맛이 나무의 正氣(정기)를 품고 있다고 생각해서 木瓜(목과)라고 명명하였다고 했다. 楙(무)는 林(림)과 矛(모)가 합쳐진 形聲(형성) 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