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한寒
다른 이름 奈何草(내하초),老翁發(노옹발),猫古都(묘고도),猫頭花(묘두화),白頭公(백두공),白頭草(백두초),粉乳草(분유초),野丈人(야장인),注之花(주지화),胡王使者(호왕사자)
약 맛 고(苦)
귀경 위(胃) 대장(大腸)
주치 瘰癧, 鼻衄, 細菌性痢疾, 濕熱痢疾, 疫毒痢疾, 熱毒帶下, 熱毒血痢, 外痔腫痛, 陰痒, 瘡瘍腫痛, 痔血
약용부위 뿌리
백두옹탕(白頭翁湯)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黃栢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黃連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秦皮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白頭翁 분량 : 1.5 단위 :錢
虛寒性 泄瀉, 慢性胃炎에는 服用을 忌한다.
凉血,止痢,止血,淸熱,解毒
주치 증상
熱로 인한 瘧疾과 狂症, 寒熱往來, 癥瘕, 積聚, 혹을 치료하고, 어혈을 제거하며 통증을 그치게 하고 창칼에 찔린 상처를 치료한다<本經>.
코피를 치료한다<別錄>.
독을 인한 泄瀉를 그치게 한다(陶弘景).
피를 동반한 설사와 복통, 치통을 치료하고 온몸이 쑤시는 것을 치료하며, 목 아래의 임파선염을 치료한다(甄權).
모든 風邪로 인한 병을 치료하고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며, 눈을 맑게 한다(池大明).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野杖人<本經>, 胡王使者<本經>, 奈何草<別錄>이 있다. 陶弘景은 “곳곳에 널려 있는 풀이다. 뿌리 근처에 흰색 털이 있어서 모양이 머리가 하얀 노인과 같다고 하여 白頭翁이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하였다.
李時珍은 “丈人, 胡使, 奈何는 모두 노인의 모양을 표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