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량凉, 태음인
다른 이름 苦心(고심),南沙參(남사삼),더덕,鈴兒草(령아초),文虎(문호),文希(문희),白參(백삼),識美(식미),羊乳(양유),羊婆奶(양파내),잔대),知母(지모),志取(지취),虎鬚(호수)
약 맛 고(苦) 감(甘)
귀경 폐(肺) 위(胃)
주치 疥瘡, 乾咳, 久咳, 傷陰咽乾喉痛, 身痒, 惡瘡, 胃陰不足, 陰虛津虧, 陰虛脇痛, 稠痰, 瘡瘍, 肺熱燥咳, 肺痿, 肺陰虛咳嗽, 肺脹, 咳嗽, 虛勞久咳
약용부위 뿌리
독활탕1(獨活湯1)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沙參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獨活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羗活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白茯苓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烏梅 분량 : 1 단위 :箇
본초명 : 五味子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人參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前胡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薑 분량 : 3 단위 :片
본초명 : 酸棗仁 분량 : 0.8 단위 :錢
연교산(連翹散)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連翹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白芷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桑白皮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黃連炒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貝母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沙參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片芩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荊芥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梔子 분량 : 0.7 단위 :錢
虛寒證에는 服用을 忌한다. 肺寒이나 風寒으로 인한 咳嗽에는 복용을 忌한다.
藜蘆에 反한다.
祛痰止咳,去風止痒,排膿消腫,養胃生津,養陰淸肺
주치 증상
<본경(本經)>: 瘀血과 驚氣를 치료하고 寒熱症을 치료하며 中氣와 肺氣를 補한다.
<별록(別錄)>: 胃痺(위비)와 心腹痛을 치료하며, 熱邪가 뭉쳐서 발생한 頭痛과 피부의 邪熱을 제거하며, 五臓을 편안하게 하니 오래 복용하면 좋다. 이것은 또한 羊乳라고도 하는데 頭腫痛을 치료하고 益氣하며 肌肉을 돕는 작용이 있다고 하였다.
견권(甄權): 체표의 風邪를 제거하고, 극심한 하복부 통증을 동반한 탈장을 치료하며 잠이 너무 많이 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肝氣를 기르고 五臓의 風氣를 치료한다.
지대명(池大明): 補虛작용이 있고 놀라고 답답한 것을 그치게 하며 心肺를 돕는다. 아울러 모든 惡瘡과 疥癬 및 피부소양을 치료하며, 排膿작용이 있고 腫毒을 해소한다.
이시진(李時珍): 肺火를 제거하기 때문에 오래된 咳嗽(해소)와 肺痿(폐위)를 치료할 수 있다.
약물 이름의 기원
<오보본초(吳普本草)>에서는 白參이라 하였고, <별록(別錄)>에서는 知母, 羊乳, 鈴兒草, 虎鬚, 苦心, 文希, 識美, 志取라고 하였고 <本草綱目(본초강목)>에서는 羊婆奶라고 하였다.
陶弘景(도홍경): 이것은 人參, 玄蔘, 丹參, 苦參과 함께 五參이 되는데, 그 형태가 모두 다르나 치료하는 바가 비슷하기 때문에 모두 參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또한 紫參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牡蒙이다.
이시진(李時珍): 沙參은 白色이며 모래땅에서 잘 자라므로 그렇게 이름을 붙였다. 그 뿌리에는 흰색 즙이 많아서 이인(俚人)들은 양파내(羊婆奶)라고 불렀으며 別錄에 이름만 있고 사용하지 않은 羊乳는 바로 이것이다. 이 약재는 심이 없고 맛이 담담한데 <별록(別錄)>에서 苦心이라고 한 것은 知母와 같은 이름인데 왜 그렇게 불렀는지 모른다. 영아초(鈴兒草)라고 한 것은 꽃 모양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