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溫, 소양인
다른 이름 山茱肉(산수육),鼠矢(서시)(서시),蜀棗(촉조)(촉조),鬾實(기실)(기실
약 맛 산(酸)
귀경 간(肝) 신(腎)
주치 眩暈,自汗,耳鳴,遺精滑泄,遺尿,腰膝?痛,五更泄,陽?,崩漏,大汗虛脫,帶下,尿意頻數,內熱消渴,驚悸,
약용부위 열매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肉桂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牧丹皮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茯苓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山茱萸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山藥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五味子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澤瀉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熟地 분량 : 8 단위 :兩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山茱萸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遠志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拘杞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龜板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鹿茸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杜冲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白茯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牛膝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知母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蓯蓉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巴戟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黃栢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山藥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熟地 분량 : 3 단위 :兩
命門火熾로 陽强不?와 平素에 濕熱이 있어 小便이 不利한 者는 服用을 忌한다.
의성,문경
補益肝腎, 收斂固澀
주치 증상
<本經(본경)>: 명치 부위에 邪氣(사기)가 침범하여 寒熱(한열)의 증상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脾胃(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寒濕(한습)으로 인한 痺證(비증)을 치료하고 기생충을 제거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진다.
<別錄(별록)>: 腸(장)과 胃(위)에 風邪(풍사)가 침범한 것을 치료하고 寒熱往來(한열왕래)의 증상과 癥瘕(징가) 및 疝症(산증)을 치료한다. 완고한 두통과 風症(풍증)이 왕래하는 증상, 코막힘, 눈이 노랗게 되는 증상, 耳聾(이롱), 여드름을 치료한다. 下氣(하기) 시키고 땀을 내며 陰氣(음기)를 강하게 하고 精(정)을 북돋우며 五臟(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九竅(구규)를 원활하게 하고 小便頻數(소변빈삭)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힘이 좋아지며 장수한다.
甄權(견권): 심한 두통을 치료하고 耳鳴(이명)을 치료하며 腎氣(신기)를 보충하고 성기능을 돕고 陰莖(음경)을 튼튼하게 하고 精髓(정수)를 증가시키고 노인의 소변실금을 치료한다. 여드름을 치료하고 땀을 낼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을 그치게 한다.
池大明(지대명):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고 腎(신)을 돕고 모든 風氣(풍기)를 제거하고 모든 氣鬱(기울)을 치료하고 癥瘕(징가)를 제거하고 딸기코를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 肝(간)을 따뜻하게 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에는 蜀酸棗(촉산조), 肉棗(육조), 鬾實(기실), 鷄足(계족), 鼠矢(서시)가 있다.
寇宗奭(구종석): 山茱萸(산수유)와 吳茱萸(오수유)는 전혀 다르고 치료하는 증상도 대부분 다른데, 어떤 이유에서 이러한 명칭이 생겼는지 모르겠다.
李時珍(이시진): <本經(본경)>에서는 蜀酸棗(촉산조)라고 하고 지금 사라들은 肉棗(육조)라고 하는 것은 모두 모양을 본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