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한寒
脾胃가 虛寒한 者는 服用을 忌한다.
영천
療瘡,利濕,淸熱,解毒
주치 증상
<당본초(唐本草)>: 수종(水腫),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고 대소변을 잘 보게 하며 담(痰)을 삭이고 적취를 없애고 뿌리 깊은 종기를 삭힌다.
진장기(陳藏器): 찧어서 즙을 짜서 복용하면 구토를 일으켜서 학질을 제거하며 흉격에 정체된 열담(熱痰)을 제거하고 소아의 체증(滯症)을 다스린다.
李時珍(이시진): 뿌리는 각기병과 풍독(風毒) 및 종아리가 붓는 증상을 치료한다. 찧어서 술과 함께 복용하면 효과가 매우 좋다. 또한 물에 끓여서 부스럼을 씻어낸다.
약물 이름의 기원
도홍경(陶弘景): 잎에 세 개의 흰색 점이 있기 때문에 삼백초(三白草)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