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溫, 태음인
다른 이름 水劍草(수검초),堯韭(요구),昌本(창본),昌陽(창양),昌草(창초),菖蒲(창포)
약 맛 고(苦) 신(辛)
귀경 심(心) 위(胃)
주치 疥癬, 健忘, 噤口下痢, 痰迷心竅, 冷痺, 神志昏亂, 失聽, 脘痞不飢, 陰汗濕痒, 耳鳴, 癲癎, 痴呆, 風寒濕痺, 皮膚濕瘡
약용부위 뿌리 줄기
가감고본환(加減固本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天門冬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朱砂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人參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遠志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熟地黃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石菖蒲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白茯苓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麥門冬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丹蔘 분량 : 5 단위 :錢
사신탕(瀉腎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芒硝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大黃 분량 : 1 단위 :合
본초명 : 石菖蒲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茯苓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生地汁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磁石 분량 : 8 단위 :錢
본초명 : 玄蔘 분량 : 4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4 단위 :錢
陰虧血虛, 陰虛陽亢으로 煩躁多汗, 咳嗽, 吐血, 精滑不固한 者는 모두 愼用한다.
開竅,去濕,散寒,醒神,益智,除痰,除痺,止痒,化濕,和胃
주치 증상
<本經(본경)>: 風寒濕(풍한습)의 邪氣(사기)로 인하여 저린 증상, 咳嗽(해수), 上氣(상기)를 치료하고 심장 기능을 좋게 하고 五臟(오장)을 補(보)하며 九竅(구규)를 잘 통하게 한다. 눈과 귀를 밝게 하고 목소리를 잘 나오게 한다. 귀가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고 부스럼을 치료하며 腸胃(장위)를 따뜻하게 하고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억력이 좋아지며 수명을 늘린다. 지혜를 북돋고 고매한 의지도 약해지지 않는다.
<別錄(별록)>: 사지에 발생한 濕痺(습비)와 사지를 굴신하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소아의 학질을 치료한다. 몸에 열이 쌓여서 해소되지 않는 사람은 끓여서 목욕을 할 수 있다.
甄權(견권): 귀가 울리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눈물이 나오는 증상, 귀신들린 증상을 치료한다. 모든 기생충을 죽이고 예후가 좋지 않은 부스럼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風邪(풍사)를 제거하고 下氣(하기) 시킨다. 남성의 腎(신)과 여성의 자궁이 차가워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증상, 건망증, 가슴이 답답한 증상, 명치 부위 통증, 霍亂(곽란)를 동반한 근육경련 및 귀의 통증을 치료하는데 볶은 것을 조금만 사용해도 熱(열)을 제어하는데 효과가 크다.
王好古(왕호고): 명치 부위에 덩어리가 결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독한 邪氣(사기)의 침범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증상, 이물질에 대한 과도한 거부 반응으로 기도가 막히는 증상, 경련발작, 여성의 下血(하혈) 및 崩漏(붕루)를 치료한다. 임신을 안정화시켜 지속시키며 부스럼을 흩는다. 찧어서 즙을 복용하면 巴豆(파두)와 大戟(대극)의 독성을 해독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昌陽(창양), 堯韭(요구), 水劍草(수검초)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菖蒲(창포)는 蒲(포)의 종류 중에 무성하고 큰 것이기 때문에 菖蒲(창포)라고 한다. 또한 <呂氏春秋(여씨춘추)>에서는 冬至(동지) 이후 57일이 되면 菖蒲(창포)가 자라기 시작한다. 菖蒲(창포)는 모든 풀보다 먼저 자라기 때문에 이때부터 밭을 갈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즉 菖蒲(창포)는 陽氣(양기)가 무성하다는 뜻을 취하여 붙여진 것이다. <曲術(곡술)>에서는 堯(요) 임금 시대에 하늘의 精氣(정기)가 정원으로 내려와 부추(韭(구))가 되었고, 모든 陰氣(음기)가 感應(감응)하여 菖蒲(창포)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堯韭(요구)라고 한다. 도사들의 隱語(은어)로는 水劍(수검)이라고도 하는데 잎의 모양을 따라 명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