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溫, 소음인
다른 이름 少辛(소신),小辛(소신),細草(세초),細條(세조),綠鬚薑(녹수강)
약 맛 신(辛)
귀경 심(心) 폐(肺) 신(腎)
주치 膿涕, 鼻淵, 痺痛, 失聽, 陽虛感寒, 胃火牙痛, 耳聾, 卒然昏仆, 風冷頭痛, 風寒鼻塞, 風寒齒痛, 風寒表實證, 寒痰咳喘, 咳嗽
약용부위 풀 전체
강오탕(羌吳湯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升麻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羌活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藁本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麻黃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當歸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吳萸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紅花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連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1 단위 :錢
본초명 : 黃柏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蒼朮 분량 : 1 단위 :錢
강활충화탕(羌活沖和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白芷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植防風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生地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蒼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羗活 분량 : 0.5 단위 :錢
氣虛汗多, 血虛頭痛, 血虛內熱, 陰虛咳嗽의 경우에는 복용을 忌한다.
去風散寒,溫肺化飮,止痛,通竅
주치 증상
<本經(본경>: 咳嗽(해수), 上氣(상기), 두통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 모든 뼈마디가 당기는 것, 風濕(풍습)으로 온몸이 저리고 아프며 살갗에 생기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九竅가 잘 통하고 몸이 가벼워지며 장수한다.
<別錄(별록)>: 속을 따뜻하게 하고 下氣(하기) 시키며, 痰(담)을 없애서 수액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시원하게 뚫어주고, 목이 붓는 것을 치료하고, 코가 막힌 것을 뚫어 냄새를 잘 맡게 하고, 風邪(풍사)로 인한 驚氣(경기)와 頭部疾患(두부질환)을 치료한다. 또한 젖이 울결된 것을 풀어주고, 땀을 내며 血(혈)이 잘 통하게 하고, 五臟(오장)을 안정시키고 肝膽(간담)을 돕고 精氣(정기)를 잘 통하게 한다.
甄權(견권): 膽氣(담기)를 돕고 기침을 치료하고 피부가 가려운 증상을 치료한다. 눈이 가렵고 눈물이 나는 것을 치료하고 齒痛(치통)을 치료한다. 어혈이 생겨 생리가 불순하고 요통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陶弘景(도홍경): 이것을 입에 머금고 있으면 口臭(구취)가 사라진다.
王好古(왕호고): 肝陰(간음)을 보충해주고 督脈(독맥)의 이상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며 척추가 뻣뻣해지고 사지가 싸늘한 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 입과 혀에 부스럼이 생긴 것, 대변이 건조하고 굳은 것을 치료하고 눈썹이 눈을 찌르는 것을 치료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小辛(소신), 少辛(소신)이 있다.
蘇頌(소송): 華州(화주)에 진짜 細辛(세신)이 있는데, 뿌리가 가늘고 맛이 매우 맵다. 그래서 細辛(세신)이라고 한다.
李時珍(이시진): 小辛(소신), 少辛(소신)은 모두 이 뜻이다. <山海經(산해경)>을 살펴보면 浮戱(부희)의 산에 少辛(소신)이 많다고 하였고, <管子(관자)>에서는 五沃(오옥)의 지역에 少辛(소신)이라는 약재가 많이 생산된다고 하였는데, 이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