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온溫, 소음인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小茴香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巴戟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附子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山茱萸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石斛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肉蓯蓉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破古紙 분량 : 2.5 단위 :兩
본초명 : 胡蘆巴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兎絲子 분량 : 3 단위 :兩
반본환(返本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小茴香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山藥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蓮肉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棗肉 분량 : 적당량 단위 :
본초명 : 酒 분량 : 적당 단위 :
본초명 : 黃犍牛肉 분량 : 5 단위 :斤
본초명 : 白茯苓 분량 : 4 단위 :兩
陰虛火旺者는 愼用한다.
본품은 사용량을 너무 많이 하게 되면 ?胃症이 생기므로 유의해야 한다.
理氣和中,散寒止痛
주치 증상
<唐本草(당본초)>: 모든 종기가 터진 증상, 심한 구토와 설사,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馬志(마지): 膀胱(방광)과 胃(위)에 冷氣(냉기)가 침범한 증상을 치료하며 腸(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脾胃(비위)를 조화롭게 하며 통증과 구토를 멎게 하는 효과가 있다.
池大明(지대명): 각기병을 치료하고 腎氣(신기)가 허약해서 발생하는 陰部(음부)의 극심한 통증을 치료하며 胃腸(위장)을 도와 음식을 소화시킨다.
李杲(이고): 陽氣(양기)를 보충한다.
吳緩(오완): 아랫배를 따뜻하게 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蘹香(회향), 八角珠(팔각주)가 있다.
蘇頌(소송): 蘹香(회향)은 북쪽 사람들은 茴香(회향)이라고 부르는데, 발음이 비슷하다.
孫思邈(손사막): 누린내 나는 고기를 삶을 때 조금 넣으면 냄새가 없어지고 냄새가 나는 젓갈에도 가루를 넣으면 향기가 나기 때문에 回香(회향)이라고 한다.
李時珍(이시진): 일반인들은 그것을 옷 속에 품고 다니면서 씹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蘹香(회향)이라는 명칭이 생긴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