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한寒
다른 이름
약 맛 고(苦)
귀경 간(肝) 대장(大腸)
주치 鷄眼, 痢疾, 腹瀉, 熱毒血痢, 陰痒, 腸蛔蟲, 疔毒, 贅疣, 痔瘡, 瘧疾, 休息痢
약용부위 열매
胃潰瘍·慢性腸炎·肝腎의 기능쇠퇴·임신부·幼兒의 경우에는 모두 忌하는 것이 좋다.
脾胃虛弱者와 嘔吐가 있는 者는 服用을 忌한다.
腐蝕贅疣(外用), 截瘧, 止痢, 淸熱解毒
주치 증상
<本草綱目(본초강목)>에 빠진 부분을 보충한 <本草綱目拾遺(본초강목습유)>에 수록되어 있는 약재로써 <本草綱目(본초강목)> 수록되어 있지 않다.
약물 이름의 기원
<本草綱目(본초강목)>에 빠진 부분을 보충한 <本草綱目拾遺(본초강목습유)>에 수록되어 있는 약재로써 <本草綱目(본초강목)> 수록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