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평平, 태음인
다른 이름 蘿實(나실),石蓮子(석련자),水芝(수지),水芝丹(수지단),蓮實(연실),藕實(우실),菂(적),澤芝(택지),薂(격)
약 맛 감(甘)
귀경 심(心) 비(脾) 신(腎)
주치 虛煩,遺精,心悸,失眠,脾虛久瀉,崩漏,帶下,驚悸
약용부위 열매
현토단(玄菟丹)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蓮子肉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菟絲子 분량 : 10 단위 :兩
본초명 : 山藥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五味子 분량 : 7 단위 :兩
본초명 : 白茯苓 분량 : 3 단위 :兩
황련청심음(黃蓮淸心飮)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蓮子肉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甘草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當歸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茯神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生地黃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遠志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人蔘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黃蓮 분량 : 각등분 단위 :
본초명 : 酸棗仁 분량 : 각등분 단위 :
中滿痞脹과 大便燥結者는 服用을 忌한다.
補脾止瀉, 養心安神, 益腎止遺澀精
주치 증상
<本經(본경)>: 脾胃를 돕고 精神과 기운을 북돋우며 모든 병을 없앤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지 않고 수명이 길어진다.
孟詵: 五臟이 허약한 것을 치료하고 內傷(내상)으로 氣(기)가 끊어진 것을 치료하며 12경맥의 血氣(혈기)를 보충한다.
池大明(지대명): 갈증을 멎게 하고 熱(열)을 없애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이질을 그치게 한다. 요통과 정액이 새는 증상을 치료한다. 많이 먹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李時珍(이시진): 心(심)과 腎(신)의 교류를 돕고 腸胃(장위)와 精氣(정기)를 튼튼하게 한다. 筋骨(근골)을 강하게 하고 衰弱(쇠약)을 치료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寒濕(한습)의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脾虛(비허)로 인한 설사와 오랜 이질을 그치게 한다. 여성의 帶下(대하)와 崩漏(붕루) 등 모든 출혈성 질환을 다스린다.
蘇頌(소송): 갈아서 쌀과 함께 죽을 끓여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을 북돋우며 신체를 건강하게 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本經(본경)>: 脾胃를 돕고 精神과 기운을 북돋우며 모든 병을 없앤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지 않고 수명이 길어진다.
孟詵: 五臟이 허약한 것을 치료하고 內傷(내상)으로 氣(기)가 끊어진 것을 치료하며 12경맥의 血氣(혈기)를 보충한다.
池大明(지대명): 갈증을 멎게 하고 熱(열)을 없애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이질을 그치게 한다. 요통과 정액이 새는 증상을 치료한다. 많이 먹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李時珍(이시진): 心(심)과 腎(신)의 교류를 돕고 腸胃(장위)와 精氣(정기)를 튼튼하게 한다. 筋骨(근골)을 강하게 하고 衰弱(쇠약)을 치료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寒濕(한습)의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脾虛(비허)로 인한 설사와 오랜 이질을 그치게 한다. 여성의 帶下(대하)와 崩漏(붕루) 등 모든 출혈성 질환을 다스린다.
蘇頌(소송): 갈아서 쌀과 함께 죽을 끓여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을 북돋우며 신체를 건강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