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량凉, 소양인
다른 이름 釣藤鉤子(조등구자),釣藤(조등),吊藤(조등)
약 맛 감(甘)
귀경 간(肝)
주치 驚癎,高血壓,頭目脹痛,頭暈,目眩,半身不隨,婦女子癎,小兒驚啼,小兒急驚風,抽搐,風熱頭痛
약용부위 가지
단간단(斷癎丹)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蟬退 분량 : 4 단위 :枚
본초명 : 蛇退 분량 : 1 단위 :條
본초명 : 細辛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牛黃 분량 : 1 단위 :字
본초명 : 釣鉤藤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黃芪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5 단위 :錢
鉤藤의 유효성분은 가열 후에 쉽게 파괴되므로, 20분 이상 달여서는 안 된다.
風熱이나 實熱이 없는 者는 服用을 忌한다.
熄風止痙,淸熱平肝
주치 증상
<別錄(별록)>: 소아의 寒熱往來(한열왕래) 증상과 경련 발작에 사용한다.
甄權(견권): 소아가 놀라서 우는 증상,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증상, 熱邪(열사)가 뭉친 증상, 이물질에 대하여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호흡이 곤란한 경우, 소아 파상풍 등에 쓴다.
<李時珍(이시진)>: 성인이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는 증상을 치료하며 肝風(간풍)을 진정시키고 心熱(심열)을 제거하고 소아의 腹痛(복통), 斑疹(반진)이 생기는 증상을 치료한다.
약물 이름의 기원
陶弘景(도홍경): 建平(건평)에서 생산되며 吊藤(적등)이라고도 한다. 소아의 질환을 치료할 때만 사용하며 다른 처방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李時珍(이시진): 이 약재의 가시가 구부러져 갈고리와 같이 생겼기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吊(적)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간단하게 쓰려는 의도에서 생긴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