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평平, 소양인
다른이름 鬼藏(귀장),鹿腸(녹장),馥草(복초),野脂麻(야지마),正馬(정마),重台(중태),逐馬(축마),玄台(현태),黑參(흑삼)
약맛
귀경
주치 骨蒸勞熱,口渴,盜汗,瘰癧痰核,煩躁,産後血虛發熱,消渴,心煩不寐,癰腫瘡毒,胃熱熾盛證,陰虛發熱,咽喉腫痛,自汗,津傷便秘,肺熱咳嗽,肺陰虧耗證,風熱頭痛
약용부위 뿌리
서각탕(犀角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柴胡 분량 : 0.6 단위 :錢
본초명 : 芒硝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麥門冬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木通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射干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升麻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連翹 분량 : 0.6 단위 :錢
본초명 : 沈香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玄參 분량 : 1 단위 :錢
연경조자환(軟硬皂子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玄參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皂子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連翹 분량 : 1 단위 :兩
脾胃가 虛寒하여 胸悶食少한 者는 服用을 忌한다.
滋陰降火,淸熱瀉火,解毒散結
주치증상
<本經(본경)>: 腹中(복중)의 寒熱(한열)로 인한 積聚(적취), 부녀자의 산후 질환을 치료하고 腎氣(신기)를 보충하고 눈을 밝게 한다.
<別錄(별록)>: 갑작스러운 風寒(풍한)의 사기의 침범을 받은 것, 몸에 열이 나고 속이 그득한 것, 정신이 나가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 학질로 오싹오싹하는 경우, 어혈이 뭉친 것, 하복부가 차고 출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흉중에 기가 울체된 것을 제거하고 정체된 수분을 아래로 내보내고 번잡하고 갈증이 나는 것을 제거하며 목 아래에 가래가 맺힌 것 같은 것을 제거하고 종기와 심복통 및 단단한 癥瘕(징가)를 제거하고 오장을 안정시킨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虛(허)한 몸을 보충하고 눈을 밝게 하며 陰氣(음기)를 강하게 하고 精(정)을 북돋운다.
<甄權(견권)>: 熱(열)과 風(풍)으로 인한 두통, 傷寒病(상한병)이 재발한 것을 치료하고 열이 울결된 것을 치료하며 혹과 임파선염을 제거한다.
<池大明(지대명)>: 風邪(풍사)가 온몸을 돌아다니는 것을 치료하고, 허약함을 치료하며, 가슴이 뛰고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음이 부족해서 생기는 미열을 제거하고 독한 사기에 감염되는 전염병을 물리치며, 건망증을 치료한다. 또한 腫毒(종독)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陰(음)을 보충하고 火氣(화기)를 내리며, 피부에 반점을 일으키는 邪毒(사독)을 해소하고 咽喉(인후)를 편하게 하며, 소변과 혈액 순환을 좋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黑參<綱目>, 玄台<吳普>, 重台<本經>, 鹿腸<吳普>, 正馬<別錄>, 逐馬<藥性本草>, 馥草(복초)<開寶本草>, 野脂麻<綱目>, 鬼藏<吳普>이 있다.
李時珍은 “玄은 검은색이다. <別錄>에서는 일명 端, 咸이라고도 했으나 자세히 알 수 없다.”고 하였다. 陶弘景은 “그 줄기가 가느다란 것이 人參과 비슷하므로 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였다. 馬志는 “香草들과 함께 사용하므로 속칭 馥草라고도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