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독, 한寒
다른이름 胡蓮(호연),割孤露澤(할고로택),假黃連(가황연)
약맛 고(苦)
귀경 간(肝) 심(心) 위(胃) 대장(大腸)
주치 骨蒸潮熱,盜汗,目赤腫痛,瀉痢,小兒疳熱,陰虛發熱,痔瘡,血淋,黃疸
약용부위 뿌리줄기
본품은 性味가 苦寒하므로, 脾胃가 虛寒한 경우에는 사용을 삼간다.
除疳熱,淸熱燥濕,淸退虛熱
주치증상
"蘇恭(소공): 肝膽(간담)을 補(보)하고 눈을 밝게 하며 腸胃(장위)를 튼튼하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한다. 적응증으로는 陰虛(음허)로 인한 발열증상, 三消(삼소), 五心煩熱(오심번열), 婦人(부인)의 胎動(태동), 허약해서 잘 놀라는 경우, 냉설사, 열설사, 치질이 있다. 사람의 유즙에 담구었다가 點眼(점안)하면 매우 좋다.
<開寶本草(개보본초)>: 오랜 설사로 인하여 생긴 만성 소화기장애 질환, 소아가 놀라고 경련을 일으키는 것, 寒熱往來(한열왕래), 소화불량, 근육경련과 설사, 감기로 인한 기침과 한열왕래를 치료한다. 허리와 콩팥을 튼튼하게 하며 사타구니의 부위가 축축한 것을 치료한다.朱震亨(주진형): 積聚(적취)를 제거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割孤露澤이 있다. 李時珍은 “그 性味와 효능이 黃連과 비슷하므로 胡黃連이라 이름을 붙였다. 割孤露澤는 오랑캐의 말이다.”라고 하였다.